
[인사이드비나=호치민, 투 탄(Thu thanh) 기자] 베트남 통신사업자들이 OTT 업체들의 트래픽 증가로 인프라 유지에 대한 부담이 늘자 이들에게 망사용료를 요구하고 나섰다.
통신업체들은 최근 정보통신부와의 간담회에서 이같은 의견을 전달하며 망사용료를 통신망 확충에 투자해 장기적으로 공정하고 지속가능한 사업이 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까오 안 선(Cao Anh Son) 비엣텔(Viettel) CEO는 “통화 및 SMS 사용량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 외국 OTT 업체들의 트래픽은 두자릿수로 증가하고 있다”며 “이런 이유로 OTT 업체들은 인프라 유지와 추가 개발에 대한 투자비 일부를 부담해야 한다”고 망사용료 요구 이유를 설명했다.
비엣텔에 따르면 현재 국내를 비롯해 국제 인터넷 트래픽의 80%가 페이스북, 구글, 넷플릭스와 같은 글로벌 기술기업들의 트래픽이다.
부이 선 남(Bui Son Nam) 모비폰(MobiFone) 부사장은 “영상 화질을 HD에서 4K로 높여 시청하는 것과 같은 사용자들의 사소한 행동이 네트워크에 큰 부담을 야기할 수 있다”며 "국내 통신사업자와 OTT 사업자들이 인프라 투자비용을 분담할 수 있도록 정보통신부가 법안을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앞서 이미 정보통신부 산하 통신원은 “잘로(Zalo)와 텔레그램 등 메신저들의 서비스 방식이 전화나 SMS와 유사해 전기통신법에 따라 서비스가 제공돼야 한다”며 관련규제 필요성을 지적한 바 있다.
그러나 지난달 23일 미국-아세안기업협의회(US-ASEAN Business Council, USABC) 주관으로 열린 세미나에서 부 뚜 탄(Vu Tu Thanh) USABC 베트남대표는 “10년전 미국 통신기업 AT&T가 OTT 업체들에 망사용료를 요구해 국내외에 논란을 불러일으켰으나 망중립성 원칙에 따라 무산됐다”며 OTT 업체들에 대한 망사용료 요구에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했었다.